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람들 SCIENCE STUDIES

대학원생

> 사람들 > 대학원생

강규태

입학시기
2018년 1학기
전공
과학철학
연구분야
지각 경험
이메일
pineman@snu.ac.kr
저는 포스텍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한 뒤, 본 과정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현재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인간의 마음에 대한 철학적 문제에 관심이 많고, 그밖에도 다양한 주제에 대해 철학적으로 생각해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 주 연구 분야
- 심리철학 및 인지과학의 철학 (지각 경험, 의식, 신경과학 및 심리언어학의 철학적 쟁점들)

■ 기타 관심 분야
- 인식론 (이해)
- 서양고대철학 (플라톤, 스토아학파)
- 윤리학 (환경, AI, 덕윤리)

■ 교육
- POSTECH 생명과학과 학사, 2018.
-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석사, 2020.
-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박사과정 재학 (2022 수료).

■ 학위 논문
- 강규태 (2020), 「과학 이론의 성공에 대한 선택론적 설명 비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일반 논문
- 강규태 (2023), 「지각 경험의 초견적 정당화 역할에 대한 반증주의 접근」, 『철학적 분석』 50: pp. 55-86.
- 강규태, 천현득 (2024), 「이해는 지식으로 환원되는가? - 이해의 정도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69: pp. 5-31.
- 강규태 (2024), 「플라톤 『법률』편에서 설득의 합리성 문제」, 『철학사상』92: pp. 3-36.
- 강규태 (2024), 「지각적 수준 이론적재성의 메커니즘: 천현득 교수의 논의를 중심으로」, 『과학철학』27(2): pp. 1-25.


■ 학술지 서평
- 이병호, 강규태, 천현득 (2021), 「과학적 이해에 관한 데 레흐트의 맥락주의 이론」, 『과학철학』 23권 3호, pp. 185-205.
- 강규태 (2024),「 마이클 스트레븐스 저, 양병찬 역, 『지식 기계 – 비합리성은 어떻게 현대과학을 창조했나』, (자유아카데미, 2023)」, 『과학철학』 27권 1호, pp. 63-75.



■ 교양 저술
- 김우주, 강규태 (2021), 『전염병 팬데믹 어떻게 해결할까? 』, 동아엠앤비.
- 강규태 (2023),「 과학적 탐구의 다양성: 과학철학적 관점」, 『사이: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학생저널』, 창간호(2023년 가을): pp. 18-48.
- (일부 장 집필, 2023)『그렇게 나는 공대생이 되었다: 잠재력으로 POSTECH 가기』, 다산글방.
- (일부 장 집필, 2020-2024)『미래를 읽다 과학이슈 11』 시리즈, 동아엠앤비.

■ 학회 발표
- 2019년 2월, 한국분석철학회 대학원생분과 워크샵, 「과학의 성공에 대한 선택론적 설명 비판」
- 2021년 2월, 한국분석철학회 대학원생분과 워크샵 , 「지각 경험의 인식적 정당화 역할에 대한 반증주의 접근」
- 2021년 6월, 한국과학철학회 정기학술대회,「과학 이론의 성공에 대한 선택론적 설명 비판」
- 2022년 8월,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및 STS&Law연구회 하계 워크샵,「CMIT/MIT 가습기살균제의 위해성에 대한 법적 판단과 과학적 판단: 증거의 지위를 둘러싼 논쟁」
- 2023년 2월, 한국분석철학회 대학원생분과 워크샵,「이해-지식 비환원주의 옹호」
- 2024년 12월, 한국분석철학회,「의미에 대한 지각주의 비판: 시각 단어 형태 영역에 대한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 경력
- 한국과학철학회 편집간사, 2021년 9월 - 2023월 8월
- 한국과학철학회 총무간사, 2023년 9월 - 2025년 8월 (예정)


■ 학과 활동
- 2019년 1학기 석사조교
- 2023년 1학기 신입생 세미나 조교
- 2023년 2학기 신입생 세미나 조교
- 2023년 2학기 내부세미나 조교


■ 장학금
- 2018년 1학기 성적우수 장학금
- 2020년 2학기 강의연구지원(GSI) 장학금
- 2021년 1학기 - 2022년 1학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정책 전문인력 육성 지원사업 교육훈련비


■ 강의조교
- 2019년 2학기 <인간학 개론>
- 2020년 2학기 <인공지능의 철학>
- 2021년 1학기 <인문학 글쓰기>, <과학기술 글쓰기>
- 2021년 2학기 <인문학 글쓰기>, <과학기술 글쓰기>, <연구윤리의 이해>
- 2022년 1학기 <인문학 글쓰기>, <과학기술 글쓰기>, <연구윤리의 이해>
- 2022년 여름계절학기 <독서세미나 - 고전에 길을 묻다>
- 2024년 1학기 <연구윤리의 이해>
- 2024년 2학기 <연구윤리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