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회원가입
학과소개
인사말
전공소개
관련사이트
위치
사람들
교수진
직원과 조교
대학원생
동문
입학안내
지원 방법
권장 도서
입학 상담
교육과정
지도 교수 선정
교과목 이수
논문제출 자격시험
논문제출과 심사
장학금 정보
연구
최근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소식
공지사항
구성원 소식
손님 게시판
전체메뉴
메뉴
HOME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
SCIENCE STUDIES
최근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연구
최근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석사학위 논문
최근 연구
홈
>
연구
>
최근 연구
연도별 출판물 목록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소속으로 저자가 등록된 교원 및 학생들의 출판물 목록입니다. 동일 항목 하의 출판물들은 출판 시기가 최신인 순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각각을 클릭하시면 해당 출판물 관련 페이지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 0
2025년 출판물
권유빈, 홍성욱,「인간중심 인공지능(Human-Centered AI), 그 가능성과 문제점들」, 『과학기술학연구』(2025) 25(1): pp. 33-63.
→
2024년 출판물
김정은, 손호성 「증거기반정책과 증거 위계 수준: 이론・쟁점・실제・연구방향」,『한국행정학보』 (2024)
→
최석현, 「트랜스휴먼주의와 미국의 정치 신화」,『횡단인문학 』(2024), 18: pp. 61-91.
→
임소연, 김도연,「실험실의 페미니스트들: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의 여성 과학자와 ‘페미니스트로서 과학하기’」,『젠더와 문화』(2024), 17(2), 45-82.
→
전대경,「인간의 조건으로서 괴델문장과 반기계론의 위기」, 『기독교철학』(2024), 41: pp. 439-67.
→
전대경,「인공생명과 계산력의 창발: 인간과 인공지능 간 경계선 붕괴의 위기」,『기독교철학』(2024): 273-308
→
김연화,「불확실성의 시대에 돌봄노동으로서의 제대혈」(2024), 『아시아여성연구』, 63(1): 45-78.
→
박예슬, 「연구노트에서의 기술이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우리별 1호 개발 사례, 1991-1992」『과학기술학연구』 (2024) 24:3 , 232-269.
→
강규태,「지각적 수준 이론적재성의 메커니즘: 천현득 교수의 논의를 중심으로」,『과학철학』(2024), 27(2): pp. 1-25.
→
강규태, 「플라톤 『법률』편에서 설득의 합리성 문제」(2024),『철학사상』92: pp. 3-36.
→
강규태, 천현득,「이해는 지식으로 환원되는가? - 이해의 정도를 중심으로」(2024),『철학연구』 69: pp. 5-31.
→
강규태, 「서평: 마이클 스트레븐스 저, 양병찬 역, 『지식 기계 - 비합리성은 어떻게 현대과학을 창조했나』, (자유아카데미, 2023)」『과학철학』(2024), 27(1), pp
→
원영훈,「과학정책 의제설정에서 과학자의 역할 - 기초과학연구원(IBS)과 기초연구 예산 ‘2배 증액’ 사례를 중심으로 -」(2024),『한국정책학회보』, 33(1), 249-282
→
Aram Cho, Hajeong Kim, and Sangook Park. Resurgence of the hydrogen energy in South Korea's governm
→
2023년 출판물
강규태, 「지각 경험의 초견적 정당화 역할에 대한 반증주의 접근」, 『철학적 분석』 (2023), 50: pp. 55-86.
→
최석현,「다트머스 워크숍과 인공지능의 기원 설화」, 『과학기술학연구』(2023), 23(3): pp. 37-65.
→
전대경, 「아더 피어선의 기독론 루터의 단성론적 기독론과 칼빈의 양성론적 기독론 사이에서」, 『피어선신학논단』(2023), 12(1): pp. 85-119
→
Yoo, Sangwoon, and Park, Sangook, South Korea's national pursuit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 dev
→
전대경,「피어선의 귀납주의에 대한 비판적 옹호: 귀류 논증을 통하여」,『피어선신학논단』(2023), 12(2): pp. 1-34
→
원영훈, 김혜민, 박상욱,「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 프로그램 사례와 유형화를 통한 증거기반 접근의 모색」,『한국혁신학회지』(2023) 18(1): pp. 63-95.
→
Kyoryen Hwang, 'Sorting sex, controlling sex: Masui Kiyoshi’s chicken research and experimental sys
→
황정하,「‘적대적 협력’의 이중성이 쌓아 올린 댐: 김대중 정부 시기 평화의 댐 증축사업」, 『한국과학사학회지』(2023), 45(1): 71-103쪽
→
고원태,「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의약품 동등성과 전문성의 정치」, 『과학기술학연구』(2023), 23(1) 40-67쪽
→
구재령, 「항우울제는 정말로 효과적인가?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논쟁과 신유물론의 두 장(場·臟)」, 『의철학연구』 (2023), 35: 3-45쪽
→
이한슬, 천현득,「알고리듬 투명성을 이해하기」, 『과학철학』(2023), 26(1): 31-58쪽
→
원영훈, 김혜민, 박상욱,「과학기술혁신정책의 과학화 프로그램 사례와 유형화를 통한 증거기반 접근의 모색」,『한국혁신학회지』(2023), 18(1): 63-95쪽
→
2022년 출판물
홍성욱, 「과학학이란 무엇인가?」, 『지식의 지평』33 (대우재단, 2022), 166-179쪽
→
Cho, Aram and Park, Sangook. 'Exploring the Global Innovation Systems Perspective by Applying Openn
→
유진희, 「텔레비전 천만 생산 시대의 “다다익선(多多益善)”: 1980년대 삼성의 홍보 전략과 백남준의 비디오 예술」, 『한국과학사학회지』(2022), 44(3) 601-641쪽
→
Hyundeuk Cheon,'A new direction for global epistemology.' me
tascience (2022), 31(2): 195-198쪽
→
이병호, 천현득,「설명 없는 이해는 가능한가? - 이해에 대한 능력 기반 견해」, 『과학철학』(2022), 25(1): 59-87쪽
→
전대경, 「John Wesley’s Anthropology in the Light of Jaegwon Kim’s Supervenience Argument」,「갱신과 부흥」(202
→
최석현, 「우리는 결코 “코기토”였던 적이 없다: 포스트휴먼주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데카르트 이원론」, 『철학사상』(2022), 86: 87–120쪽
→
조수남, 배상희, 김하정,「이공계 글쓰기 첨삭 지도 양식 개발 - 이공계 논증 글쓰기 첨삭 지도 양식과 그 효과」, 『작문연구』(2022), 54: 69-110쪽
→
김하정, 박상욱, 「일본 FH2R 나미에 그린수소타운 사례: 사회기술실험 관점에서」,『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집』(2022), 33(6): 674-683쪽
→
민병웅,「적합한 몸의 선별과 집단 사이의 위계화―1950~ 60 년대 한미 해외입양 과정에서의 혼혈아의 몸에 대한 지식 생산과 활용을 중심으로.」 , 『사회와 역사』(2022),
→
원영훈, 박상욱,「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플랫폼 사업모형의 충격과 제도변화의 전개: 타다 베이직과 여객자동차법 개정 사례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2022), 33(3)
→
이호규, 윤지웅, 원영훈. 「기술시장의 규제 목표와 수단의 정합성 분석: 웹보드산업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2022), 23(3): 19-39쪽
→
구재령, 「 알고리즘과 메타포: 페이스북의 ‘에코챔버’와 구글 검색의 ‘필터버블’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22(3) (2022), 33-68쪽
→
2021년 출판물
박지영, 황교련, 「미국의학 도입의 사적 경로: 미군정기 사비 유학생 서석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2021), 8: 67-98쪽
→
김연화, 성한아, 임소연, 장하원 『겸손한 목격자들: 철새•경락•자폐증•성형의 현장에 연루되다』 (서울: 에디토리얼, 2021)
→
이병호, 강규태, 천현득, 「서평: 과학적 이해에 관한 데 레흐트의 맥락주의 이론」, 『과학철학』(2021), 24(3): 185-205쪽
→
오승현, 「정농(精農)을 위한 농술(農術): 토양, 풍토, 농시를 중심으로 본 서유구의 농업 기술론」『한국과학사학회지』(2021), 43(3): 715-759쪽
→
Seungmi Chung, Kun Hee Kim, Yeseul Park, and Hyomin Kim, “A Site of Bounded Imaginaries: Local Narra
→
김하정, 「대전엑스포를 통해 본 1990년대 초반 한국의 사회기술적 상상」, 『과학기술학연구』 (2021), 21(3): 66-97쪽
→
임종태, 『여행과 개혁, 그리고 18세기 조선의 과학기술』 (파주: 들녘, 2021)
→
황교련, 「“원진레이온 직업병”과 두 가지 과학적 삶: 이황화탄소 중독증의 인식 가능성과 판정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2021), 21(1): 128-162
→
이미솔, 홍성욱, 「과학 다큐멘터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EBS< 뇌로 보는 인간>의 “섹스” 편의 콘텐츠 변화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1), 23: 303-33
→
천현득, 「과학적 개념의 실험철학: 더 자연화된 과학철학을 향하여」, 『과학철학』(2021), 24(1) 41-65쪽.
→
김성화, 「1950-70년대 한국에서의 초지조성과 낙농가의 성장」, 『한국과학사학회지』(2021), 43(1) 175-213쪽.
→
김하정, 「서평: Arthur P. Molella, Scott Gabriel Knowles eds., World’s Fair in the Cold War. Pittsburgh: U
→
최석현, 「서평: Bruno J. Strasser, Collecting Experiments: Making Big Data Biology. Chicago: University of
→
황정하·홍성욱, 「세월호의 복원성 논쟁과 재난 프레임」, 『과학기술학연구』 (2021) 21(2): 91-138쪽.
→
홍성욱,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 『인문학연구』(2021), 35: 3-35쪽
→
이한슬·천현득, 「인공지능 윤리에서 해명가능성 원리」, 『인문학연구』(2021) 35: 37-63쪽
→